오늘은 24절기 중 한로 뜻과 유래,
관련된 내용들에 알아보겠습니다.
한로(寒露)는 24절기의 하나이며,
찬이슬이 맺힌다는 뜻을 갖고있습니다.
태양 황경이 195도가 되는 때를 말하며,
날짜는 양력으로 10월 8일 혹은 10월 9일경입니다.
(음력 9월 9일인 중양절과 겹치는 때라고 합니다.)
중국 사람들은 한로 15일 간을 5일씩 끊어서
3 후(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초대를 받은 듯 모여들고,
중후(中候)에는 참새가 줄고 조개가 나오며,
말후(末候)에는 국화가 노랗게 핀다고 전해져 내려왔습니다.
한로 즈음은 찬이슬이 맺힐 시기여서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므로 농촌은
오곡백과를 수확하기 위해 타작이 한창인 때가 되며,
여름철의 꽃보다 아름다운 가을 단풍이 짙어지고,
제비 같은 여름새와 기러기 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가 한로입니다.
한로는 중양절과 비슷한 시기에 드는 때가 많으므로
중양절 풍속인 머리에 수유(茱萸)를 꽂거나,
높은 데 올라가 고향을 바라본다든지 하는 내용이
한시(漢詩)에 자주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높은 산에 올라가 머리에 수유를 꽂으면
잡귀를 쫓을 수 있다고 믿어 왔으며,
이는 수유 열매가 붉은 자줏빛인데 붉은색은 양(陽) 색으로
벽사력(辟邪力)을 가지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즐겨먹은 음식으로는 한로와 상강(霜降)
무렵에 서민들은 시식(時食)으로
추어탕(鰍魚湯)을 즐겼다고 본초강목에 서술되어있습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미꾸라지가
양기(陽氣)를 돋우는 데 좋다고 하였습니다.
가을이 오는 시점에 추어탕 한 그릇으로 몸보신도 면역력도
키워보는 건 어떨까요?
'Life & Th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제하지? KTX 추석기차표 예매기간과 방법은? (0) | 2020.08.27 |
---|---|
GTX B노선 수혜지역과 개통시기는? (0) | 2020.08.27 |
카카오뱅크로 무료 KOSPI 주식받는 방법은? (0) | 2020.08.26 |
8호 태풍 바비 경로와 위력은? (0) | 2020.08.26 |
어디로 지나가나? GTX A노선과 개통시기는 언제? (0) | 2020.08.25 |